눈으로 하는 코딩이 아닌! 직접 타이핑하는 코딩은 실력 향상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선생이예요. 정신없던 한주여서 게시글을 많이 못 올렸네요. 죄송합니다. ( __ )


전반적으로 C나 JAVA는 이후에 배우게 될 조건문이나 반복문의 구조가 비슷합니다. 그래서 C와 JAVA가 겹치는 부분이 많을거예요.


특히나 문제로 나오는 것들은 C를 위한 문제, JAVA를 위한 문제. 나눠서 문제를 제시해드리지는 않을 예정이예요.


Programming 카테고리는 실무적인 것을 배우는게 아니고 기초를 잡아드리기 위함이예요. :)


그럼 기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시작할게요!


C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아요.


#include <stdio.h>
int main(void){
    printf("Hello World!\n"); // 이건 주석!
    return 0;
}

많은 분들이 프로그래밍을 입문하면 이와 비슷한 코드를 보게되요. Hello World! 를 출력하는 코드를요.


기본적인 구조의 필요이유를 알아봅시다.


#include <stdio.h>

include 는 포함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stdio는 STanDard Input Output 의 줄임말이예요. c의 표준 입출력을 담당하는 파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추후에 쓰게될 printf() 함수나 scanf()함수는 꼭 #include <stdio.h>가 되어있어야합니다 :0 

그리고 보통의 std는 Standard의 줄임말임을 기억하고 계시면 편해요. 


int main(void){ ... }

우리가 흔히 말하는 main함수예요. "아 main함수의 구조가 저렇다면,,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지만 int라는걸 쓰고 함수명을 써주고 괄호 열고 void라는걸 쓰고 괄호 닫고 중괄호 열고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쓰고 중괄호를 닫으면 이게 함수의 구조가 되겠구나?! " 라고 생각하셨나요?!!! 엄청 주절주절 쓰기만 했는데, 일단 main함수의 기본 작성법은 알아두셔야합니다!! int main(void){  }가 기본적인 main함수의 구실을 한다는 것.

( 보통은 int main()을 많이 씁니다. void main()을 사용하기도 해요. 추후에 설명드릴게요. )

고놈의 main함수 main함수.. 이게 뭐냐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예요.  2012버전 이후로는 t_main()을 대신해서 쓰기도 하던데 이건 제가 더 알아보고 알려드리도록할게요!! :)

"쌤 그러면 (void)는 뭔가요?!"

void란 공허, 아무것도 없는. 이런 뜻으로 사용이되요. void. 즉 아무것도 없다. 라는 뜻인데 보통 우리가 수학에서 함수를 작성할 때는 f(x) = 2x + 1 이런식으로 작성을 하는데, f(x) 이 부분에 집중을 해보시면 x에 어떤 값을 넣을 수 있다. 가 되죠? 그런데 이게 void래. 아무 것도 없대.. 넣을 수 있는 값이 없다. 이렇게 이해하고 계시면 될 것 같아요. 너무 깊게 파고들면 안되요 지금은ㅠㅠ

아차차 그리고 (void)는 ()로 생략해서 쓸수도 있어요. int main()이나 int main(void)나 같은 표현이예요.


printf("Hello World!\n");

앞으로 우리가 사용하게 될 명령어나 변수들은 100에 99는 마지막에 세미콜론( ; )을 !!!!!꼭!!!!! 붙여야해요. 

그렇다면 printf라는 함수가 무엇이냐?!. print 라는 뜻 자체가 출력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말그대로 출력을 해주는 명령어와 같은 존재인거예요.

"아. 출력을 해주는 함수가 있다는 것은 입력을 해주는 함수가 있겠구나?!"

맞아요. 이건 다음 게시글에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그리고 \n. 폰트에 따라서 \n이기도해요. 흔히 역슬래시 n 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역슬래시를 별로 안 쓰게되어서 원화표시랑 바꿨다고해요 :0

이 \n은 줄을 바꿔주는 역할을 해요. 여러개 더 있는데 이 것은 추후에 printf 부분에서 쓰이는 문자들을 알려드릴 예정이예요.


return 0;

return이란, 함수의 반환값을 설정해주는 것인데 main함수에서의 return 0;는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하겠다. 라는 것과 같아요.



주절주절 말만 길게 설명했지 기본 구조는 상당히 간단해요.

1. 헤더파일을 포함시킨다.

2. 메인 함수의 타입을 지정해주고 시작을 알린다.

3. 메인 함수의 동작내용을 작성한다.

4. 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를 리턴해준다.

5. 메인 함수의 끝을 알린다.


1 => #include <stdio.h>

2 => int main(void){
3 =>     printf("Hello World\n");

4 =>     return 0;

5 => }


빨갛게 색칠이 된 중괄호가 함수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부분이예요.



아래의 결과는 직접 코드를 작성해서 컴파일을 해보세요. 코딩해보시고 구조를 손에 익히고 머릿 속에 익히면 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예요. 고생하셨구요. 그럼 이만! ^^7





게시글을 보시다가 궁금한 내용, 이게 맞나? 하는 내용, 이건 틀렸어!하는 내용들은 과감하게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검색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는 것이 좋아요!!

실습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최대한 생각을 해보고 검색을 하는 것이 좋아요!!

'Program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함수  (0) 2018.05.15
[C] 반복문  (0) 2018.05.06
[C] 조건문  (0) 2018.05.04
[C] 변수와 형식지정자  (0) 2018.04.30
[C] 기본 입/출력  (0) 2018.04.24


html에 대한 게시글들은 최종적인 html 결과물을 보여드리고 어떻게 만들어가는지를 설명해드릴꺼예요.

눈으로 하는 코딩 말고!! 직접 타이핑하는 코딩을 하시면 실력향상에 무척이나 도움이 된답니다.^^7


기본 태그 소개


<p>

단락(paragraph)을 표시한다. 웹 브라우저는 자동적으로 단락의 전후에 빈 줄을 추가한다.

<br />

break에서 나온 용어이고, 종료 태그를 가지지 않는다. XHTML과의 연동을 위해 <br> 보다는 <br />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XHTML에서는 닫는태그가 필수이기 때문에 알려줘야한다.

<pre>

Previously Formatted text에서 나온 용어. 자신이 입력한 그대로 출력시켜준다.

<h1>~<h6>

Heading 이며 웹 페이지의 머리기사(Headline)이다. 숫자는 커질수록 글자는 작아진다.

<b>

볼드체로 표시

<i>

이탤릭체로 표시

<strong>

볼드체로 표시도 하지만 텍스트를 강하게 표시한다.  현재는 strong과 아래 나와있는 em 태그는 볼드체와 이탤릭체로 표시해준다.

<em>

emphasized에서 나온 용어. 텍스트를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code>

텍스트가 코드(code)임을 알려주는 태그이다.

<sup>

위첨자(superscript)를 표시한다.

<sub>

아래첨자(subscript)를 표시한다.

<hr>

horizontal line의 약자로 브라우저의 너비만큼 수평선을 그려준다.

&nbsp;

non-breaking space의 약자로 공백 문자 한 개를 출력해준다.

&lt;

< 를 출력

&gt;

> 를 출력

&quot;

" 를 출력

&amp;

&를 출력



안녕하세요! 정선생이예요. 태그 설명이 좀 많네요. 필수로 다 외워야하는 태그들은 아니예요. 필요할 때 갖다쓰면 되요. 그리고 요즘은 검색만해도 잘 나오니까요! ( 강의는 기본적으로 편집기의 사용법을 알고 계신다는 전제하에 진행하겠습니다. )

모든 html 파일들은 저장 하실때 확장자를 html로 설정을 해주셔야 웹브라우저가 읽어 낼 수 있습니다! ^^

그럼 텍스트 관련 태그 게시글 시작할게요.


이번에 만들어야 할 페이지의 최종 모습입니다.


위에서부터 차근차근 봐볼까요? 일단 웹페이지의 제목은 "텍스트 관련 태그"로 되어있네요.

그러고 쭉~ 태그들에 대한 설명들이 있어요.

아래 코드를 봐볼까요?



먼저 <head>를 봐볼게요. <head> 태그 속에 있는 <title> 태그는 웹페이지의 제목을 표시 할 때 쓴다는 것을 결과값으로 알 수 있어요.

<body>태그로 넘어가보죠. 결과값이랑 비교하면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lt; &gt; 를 이용해서 태그 이름을 쓸 수 있다는 것과, 공백은 아무리 입력해도 하나로 인식된다는 것과. <pre> 태그, <h1>~<h6>까지의 태그들까지.


막상 코드를 입력하고 보니까.. 코드에 설명들이 다 있는 것 같아요. 마땅히 더 추가로 정리해야 할 내용은 없는 것 같아요.

한 번 꼭 손 코딩이나 타이핑 코딩으로 꼭 해보시고 html의 기본적인 태그들에 익숙해지시면 좋겠습니다. :)


html의 텍스트와 관련된 태그는 여기서 마무리 짓도록 할게요.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그럼 이만 ^^7





게시글을 보시다가 궁금한 내용, 이게 맞나? 하는 내용, 이건 틀렸어!하는 내용들은 과감하게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검색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는 것이 좋아요!!

실습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최대한 생각을 해보고 검색을 하는 것이 좋아요!!

'WEB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테이블  (0) 2018.05.07
[HTML] 리스트, 링크 관련 태그  (0) 2018.04.24
[HTML] 문서편집기  (0) 2018.04.06
[HTML] 기본 구조  (0) 2018.04.06



안녕하세요! 정선생이예요. 이번 게시글은 프로그래밍 개발 환경의 종류를 알려드릴거예요. 

바로 시작할게요.


HTML과 관련해서는 문서 편집기의 종류가 있었어요. 이처럼 프로그래밍 언어에도 편집기들의 종류가 있어요. 예전에는 편집기 따로, 컴파일러 따로, 디버거 따로 사용했었거든요. 그런데 이게 하나로 통합되었어요. 우리는 그것을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이라고 부릅니다. 코딩, 디버깅, 컴파일, 배포 등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개발용 소프트웨어예요.


IDE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지원해줘요.


IDE 역시 종류가 많아요.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두 가지가 있어요. 저도 이 두 가지 외에는 안써서 모르겠어요..ㅠ


1. Visual Studio

C언어는 해당 IDE를 사용해요

2. Eclipse

JAVA언어는 해당 IDE를 사용해요


자세한 설명은 (클릭)



이번 게시글은 여기까지 준비했어요.




게시글을 보시다가 궁금한 내용, 이게 맞나? 하는 내용, 이건 틀렸어!하는 내용들은 과감하게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검색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는 것이 좋아요!!

실습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최대한 생각을 해보고 검색을 하는 것이 좋아요!!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기초  (0) 2018.04.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