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으로 하는 코딩이 아닌! 직접 타이핑하는 코딩은 실력 향상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선생이예요. 정신없던 한주여서 게시글을 많이 못 올렸네요. 죄송합니다. ( __ )


전반적으로 C나 JAVA는 이후에 배우게 될 조건문이나 반복문의 구조가 비슷합니다. 그래서 C와 JAVA가 겹치는 부분이 많을거예요.


특히나 문제로 나오는 것들은 C를 위한 문제, JAVA를 위한 문제. 나눠서 문제를 제시해드리지는 않을 예정이예요.


Programming 카테고리는 실무적인 것을 배우는게 아니고 기초를 잡아드리기 위함이예요. :)


그럼 기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시작할게요!


C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아요.


#include <stdio.h>
int main(void){
    printf("Hello World!\n"); // 이건 주석!
    return 0;
}

많은 분들이 프로그래밍을 입문하면 이와 비슷한 코드를 보게되요. Hello World! 를 출력하는 코드를요.


기본적인 구조의 필요이유를 알아봅시다.


#include <stdio.h>

include 는 포함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stdio는 STanDard Input Output 의 줄임말이예요. c의 표준 입출력을 담당하는 파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추후에 쓰게될 printf() 함수나 scanf()함수는 꼭 #include <stdio.h>가 되어있어야합니다 :0 

그리고 보통의 std는 Standard의 줄임말임을 기억하고 계시면 편해요. 


int main(void){ ... }

우리가 흔히 말하는 main함수예요. "아 main함수의 구조가 저렇다면,,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지만 int라는걸 쓰고 함수명을 써주고 괄호 열고 void라는걸 쓰고 괄호 닫고 중괄호 열고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쓰고 중괄호를 닫으면 이게 함수의 구조가 되겠구나?! " 라고 생각하셨나요?!!! 엄청 주절주절 쓰기만 했는데, 일단 main함수의 기본 작성법은 알아두셔야합니다!! int main(void){  }가 기본적인 main함수의 구실을 한다는 것.

( 보통은 int main()을 많이 씁니다. void main()을 사용하기도 해요. 추후에 설명드릴게요. )

고놈의 main함수 main함수.. 이게 뭐냐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예요.  2012버전 이후로는 t_main()을 대신해서 쓰기도 하던데 이건 제가 더 알아보고 알려드리도록할게요!! :)

"쌤 그러면 (void)는 뭔가요?!"

void란 공허, 아무것도 없는. 이런 뜻으로 사용이되요. void. 즉 아무것도 없다. 라는 뜻인데 보통 우리가 수학에서 함수를 작성할 때는 f(x) = 2x + 1 이런식으로 작성을 하는데, f(x) 이 부분에 집중을 해보시면 x에 어떤 값을 넣을 수 있다. 가 되죠? 그런데 이게 void래. 아무 것도 없대.. 넣을 수 있는 값이 없다. 이렇게 이해하고 계시면 될 것 같아요. 너무 깊게 파고들면 안되요 지금은ㅠㅠ

아차차 그리고 (void)는 ()로 생략해서 쓸수도 있어요. int main()이나 int main(void)나 같은 표현이예요.


printf("Hello World!\n");

앞으로 우리가 사용하게 될 명령어나 변수들은 100에 99는 마지막에 세미콜론( ; )을 !!!!!꼭!!!!! 붙여야해요. 

그렇다면 printf라는 함수가 무엇이냐?!. print 라는 뜻 자체가 출력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말그대로 출력을 해주는 명령어와 같은 존재인거예요.

"아. 출력을 해주는 함수가 있다는 것은 입력을 해주는 함수가 있겠구나?!"

맞아요. 이건 다음 게시글에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그리고 \n. 폰트에 따라서 \n이기도해요. 흔히 역슬래시 n 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역슬래시를 별로 안 쓰게되어서 원화표시랑 바꿨다고해요 :0

이 \n은 줄을 바꿔주는 역할을 해요. 여러개 더 있는데 이 것은 추후에 printf 부분에서 쓰이는 문자들을 알려드릴 예정이예요.


return 0;

return이란, 함수의 반환값을 설정해주는 것인데 main함수에서의 return 0;는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하겠다. 라는 것과 같아요.



주절주절 말만 길게 설명했지 기본 구조는 상당히 간단해요.

1. 헤더파일을 포함시킨다.

2. 메인 함수의 타입을 지정해주고 시작을 알린다.

3. 메인 함수의 동작내용을 작성한다.

4. 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를 리턴해준다.

5. 메인 함수의 끝을 알린다.


1 => #include <stdio.h>

2 => int main(void){
3 =>     printf("Hello World\n");

4 =>     return 0;

5 => }


빨갛게 색칠이 된 중괄호가 함수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부분이예요.



아래의 결과는 직접 코드를 작성해서 컴파일을 해보세요. 코딩해보시고 구조를 손에 익히고 머릿 속에 익히면 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예요. 고생하셨구요. 그럼 이만! ^^7





게시글을 보시다가 궁금한 내용, 이게 맞나? 하는 내용, 이건 틀렸어!하는 내용들은 과감하게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검색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는 것이 좋아요!!

실습적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은 최대한 생각을 해보고 검색을 하는 것이 좋아요!!

'Program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함수  (0) 2018.05.15
[C] 반복문  (0) 2018.05.06
[C] 조건문  (0) 2018.05.04
[C] 변수와 형식지정자  (0) 2018.04.30
[C] 기본 입/출력  (0) 2018.04.24

+ Recent posts